
수술 후 관리
-
상처 관리:수술 부위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소독은 필요시 시행합니다.
-
감염 징후 확인:발열, 통증, 부종, 발적 등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문의해야 합니다.
-
냉/온찜질:붓기가 있을 때는 냉찜질을, 열감이 없을 때는 온찜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체온 측정:하루에 두 번 체온을 측정하여 38℃ 이상일 경우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
예방적 항생제:발치, 감기, 요로 감염 등이 있을 때는 예방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재활 운동
-
의사 및 물리치료사 지도:재활 운동은 의사나 물리치료사의 지도에 따라 단계별로 진행해야 합니다.
-
꾸준한 운동:수술 후 관절의 가동 범위를 회복하고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꾸준히 운동해야 합니다.
-
과도한 운동 피하기:충격이 가해지는 운동(달리기, 농구, 테니스 등)이나 관절에 무리가 가는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
걷기:옆으로 걷는 것을 권장하며, 보조기나 목발을 사용하여 체중 부하를 조절해야 합니다.
생활 습관 개선
- 좌식 생활 피하기: 쪼그려 앉거나 바닥에 앉는 자세는 피하고, 의자나 침대를 이용해야 합니다.
- 양변기 사용: 좌식 변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리 꼬지 않기: 수술한 다리를 꼬거나 교차하는 자세는 피해야 합니다.
- 체중 관리: 과체중은 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체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 스트레칭 및 유연성 운동: 관절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칭 및 유연성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 충분한 휴식: 수술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 회복을 돕습니다.
- 6주간 운전 금지
- 충격이 가해지는 행동 피하기: 에어로빅, 달리기, 무거운 것, 한방 침, 무릎주사 등을 피합니다.
추가 주의사항
-
감염 위험:수술 후 감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위생 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
인공관절 수명:인공관절의 평균 수명은 15~20년 정도이지만, 관리 상태와 활동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기 검진:인공관절의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생기기 전에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한 하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생제 장기 복용의 위험 (3) | 2025.07.11 |
---|---|
체하는 게 일상이 된 나, 그 뒤에 숨은 복합적인 이유 (2) | 2025.07.10 |
링거 주사 잡을때마다 핏줄이 터질때 하는 시술 (3) | 2025.07.09 |
일생 생활 중 불편한 증상 - 다한증에 대하여 (2) | 2025.07.07 |
장애인이 된 후 우울증 그리고 불안증이 생기며 치료 과정 (6)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