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하루소식

진통제, 알고 먹으면 다릅니다! 복용법 & 주의사항

by 루미드림 2025. 7. 30.

 

1년에 3~4번씩 수술을 받아온 지 벌써 4년째.


이제는 수술 후 진통제가 생활의 일부처럼 느껴질 만큼 필수가 되어버렸어요.

 

그만큼 자주 접하다 보니, 진통제도 아무렇게나 먹는 게 아니라


제대로 알고 복용해야 효과도 높이고,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는 걸 절실히 느꼈죠.

 

그래서 오늘은 제가 경험 속에서 배우고, 전문의에게 들은 내용을 토대로


진통제를 안전하고 똑똑하게 복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수술 후 진통제 복용이 잦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해요.

 

 

💊 진통제 종류별 특징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예: 이부프로펜(부루펜), 나프록센, 아스피린 등

  • 효과: 통증, 염증, 발열 완화
  • 대표적 부작용:
    • 위장 장애 (속 쓰림, 위염, 위궤양 등)
    • 신장 기능 저하
    • 혈압 상승
    • 출혈 위험 증가 (아스피린 등은 혈소판 작용 억제)
  • 주의점:
    • 공복 복용은 피하고 식후 복용
    • 장기간 복용 시 위장 보호제 병용 권장
    • 신장, 간 질환자나 고혈압 환자는 주의

 

2.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해열진통제로 사용, 소염 효과는 거의 없음

  • 효과: 두통, 발열, 가벼운 통증 완화
  • 대표적 부작용:
    • 간독성 (특히 과다 복용 시)
  • 주의점:
    • 1일 최대 4,000mg(성인 기준) 초과 금지
    • 음주 중 복용 금지 (간에 무리)
    •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복용 전 전문의 상담

 

3. 마약성 진통제 (오피오이드계)

예: 트라마돌, 모르핀, 펜타닐 등 - 주로 처방약

  • 효과: 중증 통증 완화 (암성 통증, 수술 후 통증 등)
  • 대표적 부작용:
    • 변비
    • 졸림, 혼란
    • 호흡 억제 (고용량)
    • 중독 및 의존성
  • 주의점:
    • 장기간 사용 시 의사 지시에 따라야 함
    • 갑작스러운 중단은 금단 증상 유발
    • 운전이나 기계 조작 주의

 

⚠️ 진통제 복용 시 공통 주의사항

  • 다른 약물과 중복 성분 주의 (ex: 감기약 + 타이레놀 동시 복용 → 간독성 위험)
  • 임산부, 수유부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복용
  • 어린이에게는 용량 조절이 매우 중요 (체중 기준)
  • 장기복용 시 원인 치료가 아닌 증상 억제일 수 있으므로 근본 원인 확인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