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PS(복합부위통증증후군)는 주로 팔이나 다리 등 신체의 한 부위에 발생하는 만성 통증 질환입니다.
외상, 수술, 골절, 뇌졸중, 심장마비 등과 같은 사건 이후에 발생할 수 있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CRPS 주요 특징
- 극심한 통증: 초기 부상이나 손상에 비해 훨씬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통증의 양상은 '타는 듯한', '칼로 찌르는 듯한', '쑤시는'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며, 감정적 스트레스나 온도 변화에 의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통증 민감성: 정상적인 접촉(옷깃이 스치는 것 등)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무해자극통증(allodynia)'이나, 작은 통증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통각과민(hyperalgesia)'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피부 및 신체 변화: 통증 부위의 피부 색깔(흰색, 얼룩덜룩한 색, 붉은색, 푸른색 등)과 온도(땀을 흘리거나 차갑게 변함)가 변합니다. 또한 부종(붓기)이 발생하고, 피부 질감, 털, 손톱의 성장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운동 기능 저하: 통증으로 인해 해당 부위를 움직이기 어려워지면서 관절 경직, 근육 경련, 떨림, 위축(근육 소실)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RPS 원인
CRPS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의 비정상적인 상호작용과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주로 신경 손상이나 외상과 관련이 있지만, 환자의 약 30% 정도는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형
- 제1형 (Type I): 신경 손상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과거에는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RSD)'이라고 불렸습니다.
- 제2형 (Type II): 명확한 신경 손상이 확인된 경우입니다. 과거에는 '작열통(Causalgia)'이라고 불렸습니다.
CRPS 치료
CRPS는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완치를 위한 특효약은 없지만, 다양한 치료 방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항우울제, 신경병성 통증 약물, 스테로이드제 등이 사용됩니다.
- 물리 치료 및 작업 치료: 통증 완화와 함께 해당 부위의 기능 회복을 돕습니다. '거울 치료'와 같은 인지 행동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신경 차단술: 교감신경 차단술 등을 통해 통증 신호를 차단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심리 치료: 만성 통증으로 인한 우울증,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기타 치료: 통증 조절이 어려운 경우 척수 자극기 삽입술, 약물 주입 펌프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CRPS는 환자 개개인마다 증상과 치료 반응이 다르므로,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건강한 하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아웃이 찾아왔을 때, 나이대별 번아웃 극복 가이드 (16) | 2025.09.02 |
---|---|
손에서 놓지 못하는 스마트폰, 우리는 왜 인터넷 중독되었을까? (31) | 2025.08.31 |
'수족구병' 증상부터 예방법까지, 우리 아이 건강 지키는 법 (33) | 2025.08.30 |
찌릿한 신경통, 그 원인과 증상부터 치료법까지 총정리 (42) | 2025.08.29 |
👃 비염 완벽 가이드: 원인·증상·예방법 총정리 (46)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