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저림의 주요 원인
- 신경 압박 질환: 손저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신경이 눌려서 발생합니다.
- 손목터널증후군: 손목의 신경 통로(수근관)가 좁아지거나 압력을 받아 정중신경이 눌리는 질환입니다. 엄지, 검지, 중지, 그리고 약지의 절반 정도가 저리고 통증을 느끼며,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잠에서 깨기도 합니다. 손을 털거나 주무르면 일시적으로 완화되기도 합니다.
- 척골신경압박증후군: 팔꿈치 터널에서 척골신경이 눌리는 경우로, 넷째 손가락과 새끼손가락에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 목 디스크 (경추 추간판탈출증): 목에서 나오는 신경이 눌려 어깨와 팔, 손까지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한쪽 팔이나 손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목이나 어깨 통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 말초신경병증: 말초신경 자체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주로 발끝에서 시작해 위로 올라오면서 손까지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 화끈거림, 시림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영양 부족: 비타민 B12 등 특정 영양소가 부족할 경우 신경 기능에 문제가 생겨 손저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만성 신부전, 갑상선 기능 저하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혈액순환 장애: 드물지만, 동맥경화나 혈관염 등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손저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중추신경계 질환:
- 뇌졸중: 갑작스럽게 손저림이 발생하면서 두통, 어지러움, 언어장애, 마비 등 다른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뇌졸중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자가진단 (손목터널증후군) 손목을 9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1분 정도 유지했을 때 저림 증상이 생기거나 더 심해진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 및 예방
- 스트레칭 및 운동: 손목과 손가락을 스트레칭하거나 부드럽게 움직이는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생활 습관 개선: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 사용 시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자세를 교정하고, 손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병원 진료: 손저림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단순한 증상 완화보다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우에 따라 약물치료, 물리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손저림 완화 운동 (손목터널증후군 예방 및 완화)
- 손목 스트레칭 (위아래로 젖히기)
- 팔을 앞으로 쭉 뻗고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합니다.
- 다른 손으로 손가락을 잡아 손목을 아래로 부드럽게 당겨줍니다. 손바닥이 몸쪽을 향하게 합니다. 이때 팔꿈치는 펴야 합니다.
- 15초 정도 유지한 후,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같은 방법으로 손목을 당겨줍니다.
- 각 동작을 3~5회 반복합니다.
- 손목 회전 운동
- 팔꿈치를 구부려 손목을 자유롭게 돌릴 수 있게 합니다.
- 손목을 천천히 시계 방향으로 5~10회 돌려줍니다.
- 반대 방향으로도 5~10회 돌려줍니다.
- 주먹 쥐고 펴기
- 손을 편 상태에서 손가락을 천천히 구부려 주먹을 쥐었다가 다시 폅니다.
- 이 동작을 10~15회 반복합니다. 손에 힘을 주지 않고 부드럽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손목 털기
- 손목에 힘을 빼고 손목을 가볍게 털어줍니다.
- 마치 손에 묻은 물기를 털어내듯이 가볍게 흔들어줍니다. 이 동작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손가락 스트레칭
- 한쪽 손을 쭉 뻗고 다른 손으로 손가락 하나하나를 잡고 뒤로 젖혀 스트레칭합니다.
- 엄지손가락부터 새끼손가락까지 모든 손가락을 골고루 스트레칭합니다.
손저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하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혹시 나도 오십견? 증상부터 해결 운동법까지 총정리! (51) | 2025.08.22 |
---|---|
배가 꾸르륵... 설사, 혹시 장이 보내는 경고 신호? (74) | 2025.08.19 |
불편한 입 냄새, 혹시 몸속 문제의 신호? (77) | 2025.08.18 |
삐었을 때, 염좌라고? 정확한 증상과 치료방법 (46) | 2025.08.17 |
화장실에서 폰만 보는 당신에게: 변비의 비밀 (52) | 2025.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