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검하수는 윗눈꺼풀이 정상보다 처져서 눈을 잘 뜨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근육(상안검거근 등)이나 그 신경에 문제가 생겨 발생합니다.
원인
안검하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선천성: 태어날 때부터 눈꺼풀을 올리는 근육인 **'눈꺼풀 올림근'**의 발육이 불완전해 발생합니다. 양쪽 눈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주로 어린 나이에 발견돼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 후천성: 가장 흔한 원인으로, 나이가 들면서 눈꺼풀 올림근의 힘이 약해져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눈 외상, 신경 손상, 근육 질환, 혹은 콘택트렌즈의 장기간 착용으로 인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증상 및 진단
안검하수의 가장 명확한 증상은 눈꺼풀이 처져 눈동자를 가리는 것입니다.

라이선스 제공자: Google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이마 주름: 눈을 뜨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이마 근육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마에 깊은 주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턱 들기: 시야 확보를 위해 턱을 치켜들거나 고개를 뒤로 젖히는 습관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피로감: 눈을 뜨는 데 힘이 많이 들어 쉽게 피로해지고, 두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진단은 안과 전문의가 육안으로 환자의 눈 상태를 확인하고, 눈꺼풀 올림근 기능 검사를 통해 눈꺼풀의 처진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치료 방법
안검하수의 근본적인 치료는 대부분 수술로 진행됩니다.
- 근육 강화 수술: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경우, 이 근육을 강화하거나 단축시켜 눈을 뜨는 힘을 보충하는 수술을 합니다.
- 이마 근육 연결 수술: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이 거의 없는 경우, 이마 근육의 힘을 빌려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 어린이의 선천성 안검하수는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 성인의 경우 미용 문제뿐 아니라 시야 확보, 눈의 피로, 두통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 갑작스럽게 한쪽 눈꺼풀이 처진 경우 **신경학적 질환(중풍 등)**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빠른 진료가 필요합니다.
안검하수는 미용적인 문제를 넘어 시력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증상이 의심된다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안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하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쉬기 편한 세상 만들기: 코 건강의 모든 것 (15) | 2025.09.25 |
---|---|
신장 지킴이 프로젝트: 내 몸의 정수기, 신장 건강을 위한 모든 것 (29) | 2025.09.24 |
멍이 쉽게 드는 이유와 건강 신호 체크하기 (19) | 2025.09.22 |
눈 떨림, 왜 생기고 어떻게 해결할까? (10) | 2025.09.21 |
일교차 커지는 환절기, 건강 관리 꿀팁! (20)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