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 통증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이러한 상과염은 특정 스포츠 선수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팔과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 반복적인 사용 및 과부하: 요리사, 목수, 컴퓨터 작업자(마우스 과사용), 그리고 가사 노동을 많이 하는 주부 등 손목과 팔에 반복적으로 힘이 들어가는 동작을 하는 경우 발생하기 쉽습니다.
- 잘못된 자세나 장비: 운동 시 잘못된 자세(예: 테니스 백핸드 시 팔꿈치에 힘이 과하게 들어가는 경우)나 맞지 않는 장비(예: 너무 무거운 라켓)를 사용하는 것도 원인이 됩니다.
-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힘줄이 약해지고 손상이 누적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팔꿈치 통증의 치료 및 관리
팔꿈치 통증은 초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면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초기 및 일반적인 경우)
- 휴식과 활동 제한: 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손목 회전, 무거운 물건 들기)을 최대한 피하고 팔꿈치 관절에 충분한 휴식을 줍니다.
- 냉찜질: 통증 부위에 냉찜질을 하여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NSAIDs) 등의 약물 복용을 통해 염증과 통증을 완화합니다.
- 물리/주사 치료: 체외충격파(ESWT), 물리치료, 프롤로 주사(증식 치료) 등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보호대 착용: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하여 힘줄에 가해지는 부담을 분산시킵니다.
2.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자가 진단이나 단순 휴식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정형외과 등 병원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통증이 호전되지 않고 점점 심해지는 경우
- 쉬는 자세에서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 팔꿈치 주변이 붉어지고 부어오르는 경우
- 일상생활(문 손잡이 돌리기, 찻잔 들기)에 심각한 지장이 있는 경우
-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만성화된 경우 (이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음)
팔꿈치 통증 예방 및 강화 스트레칭
평소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은 팔꿈치 통증을 예방하고 재발을 막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 손목 굴곡근/신전근 스트레칭 (통증 완화에 필수)
- 팔을 곧게 폅니다: 팔꿈치를 완전히 펴고, 손바닥을 하늘로 향하게 합니다.
- 굴곡근 스트레칭 (테니스 엘보 예방): 반대 손으로 손가락을 아래(손바닥 쪽)로 부드럽게 당겨서 팔뚝 위쪽(바깥쪽) 근육을 늘려줍니다.
- 신전근 스트레칭 (골프 엘보 예방): 손바닥이 땅을 향하게 뒤집고, 반대 손으로 손등을 아래로 부드럽게 당겨서 팔뚝 아래쪽(안쪽) 근육을 늘려줍니다.
- 5~10회 반복, 5초씩 유지하며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천천히 실시합니다.
2. 근력 강화 운동 (재발 방지)
가벼운 물병(500ml)이나 아령을 이용해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운동합니다.
- 손목 올리고 내리기 (신전근 강화):
- 팔뚝을 책상이나 무릎 위에 고정하고 손목만 밖으로 나오게 합니다.
- 물병을 쥐고 손등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손목을 천천히 위로 들어 올렸다가 천천히 내립니다 (힘줄의 길이를 늘리면서 버티는 편심성 수축 운동이 핵심).
- 테니스 공 쥐기 (손가락 근력 강화):
- 테니스 공이나 고무공을 손에 쥐고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꽉 쥐었다가 풀어주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10~15회씩 3세트)
'건강한 하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늘도 뒤척이시나요? 불면증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50) | 2025.10.13 |
---|---|
🌤 하루 10분 스트레칭으로 기분전환! 피로 싹 풀리는 힐링 루틴 (36) | 2025.10.12 |
우리 몸의 주춧돌, 발목! 해부학적 구조와 역할 완벽 정리 (34) | 2025.10.08 |
멀미 지옥 탈출! 멀미의 진짜 원인 파헤치기 (24) | 2025.10.06 |
구토 멈추는 법: 탈수 막고 속 편안하게 회복하는 단계별 대처법 (7) | 2025.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