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하루소식

엄지발가락이 휜다면? 무지외반증 자가진단부터 치료 방법까지

by 루미드림 2025. 8. 9.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면서 엄지발가락 관절 부위가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질환입니다.

 

"버선발"이라고도 불리며, 발에 가해지는 압력과 마찰로 인해 통증과 염증을 유발합니다.

 

무지외반증의 원인

  • 선천적 요인: 평발이거나 발 볼이 넓은 경우, 또는 유전적으로 무지외반증이 발생하기 쉬운 발 구조를 가진 경우에 해당합니다.
  • 후천적 요인: 하이힐, 앞이 좁은 구두 등 발가락에 압력을 가하는 신발을 자주 신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로 인해 여성에게서 발병률이 높습니다.
  • 기타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질환도 무지외반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

  • 엄지발가락 변형: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기울어지고, 관절 부분이 튀어나오면서 발 모양이 변형됩니다.
  • 통증: 돌출된 관절 부위가 신발에 닿아 마찰이 생기면서 굳은살,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이 나타납니다.
  • 보행 불편: 엄지발가락이 제 역할을 못하게 되어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이로 인해 발의 다른 부위에도 통증이 생기거나 자세에 영향을 미쳐 무릎, 골반,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무지외반증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X-ray 검사를 통해 변형 정도와 관절의 각도를 측정합니다. 치료는 변형의 정도와 통증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1. 비수술적 치료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 단계에 적용됩니다.

  • 편한 신발 착용: 굽이 낮고 발 볼이 넓은 편안한 신발을 신어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야 합니다.
  • 보조기 및 교정기: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실리콘 보형물을 끼우거나 교정기를 착용하여 변형이 더 진행되는 것을 막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근본적인 교정 방법은 아닙니다.
  • 운동 및 스트레칭: 발가락을 벌리는 운동이나 마사지를 꾸준히 해주면 변형 속도를 늦추고 발의 근육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변형이 심하여 보행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고려합니다. 수술은 변형된 뼈를 교정하는 절골술이 주로 시행됩니다.

  • 수술 시간 및 회복: 수술은 보통 1시간 내외로 소요되며, 수술 후 2~3일 정도 입원하여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일상생활 복귀: 수술 후 1~2일 내에 특수 신발을 신고 보행이 가능하며, 헐렁한 운동화는 한 달 정도 후부터 신을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신발 착용과 일상생활은 2~3개월 후부터 가능합니다.

 

무지외반증 예방

  • 편안한 신발 착용: 평소 굽이 낮고 발가락을 조이지 않는 신발을 신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하이힐이나 좁은 신발은 되도록 피하고, 신어야 할 경우 짧은 시간 동안만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발 스트레칭: 발가락 벌리기, 발가락 깍지 끼기 등 발가락 근육을 강화하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족욕: 따뜻한 물로 족욕을 하면 발의 피로를 풀고 혈액순환을 돕는 데 효과적입니다.